많은 시간동안 반도체는 매우 빠른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의 소자, 공정, 회로, 소재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방법을 거쳐서 진화해왔다. 다양한 반도체 종류와 서로 다른 시장의 변동은 산업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고 있다. 반도체 학과에서는 기존 방식에서 더 나아가 digital twin, AI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반도체 교육과 연구에 집중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교과는 설계위주로 운영하여 과학과 기술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원리와 원칙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에 적합한 교육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지식의 축적 보다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을 통해서, 미래의 반도체 분야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원 과정을 통해 대학원 졸업 후 소자, 공정, 회로, 소재의 기본 원리 원칙을 깨우치고 이를 최신 방법으로 응용하고 성취와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계속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하는 방식을 통해 산업, 연구, 개발, 학계에 반드시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는 것을 가장 우선으로 하여 운영한다.
성명 | 학위구분(대학명, 취득년도) | 전공 |
---|---|---|
최희환 | 이학박사(KAIST, 2001) |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
김영진 | 공학박사(KAIST, 2002) | RFIC, 아날로그회로 |
신명훈 | 공학박사(KAIST, 2000) | 박막 태양전지, 고속 광/전자 신호처리, LCD 디스플레이 |
전재홍 | 공학박사(서울대, 2001) | 디스플레이, 박막소자 |
황진영 | 공학박사(Michigan Ann Arbor Univ.,2013) | 반도체 소자 |
김광은 | 공학박사(미국, Univ. of Wisconsin-Madison, 2018) | 화합물반도체 융합공정 |
권도균 | 공학박사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 2006) | 기능성 전자/에너지재료 |
서종현 | 공학박사 (한국, 서울대학교, 2002) | 디스플레이소재 |
윤요한 | 공학박사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 2012) | 나노분석/광학응용 |